1인 가구가 점점 늘어나면서 정부에서도 다양한 지원 정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.
하지만 어떤 지원금이 있는지, 어떻게 신청해야 하는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.
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으로 1인 가구가 받을 수 있는 주요 정부 지원금과 신청 방법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.

pixabay


1. 국민취업지원제도

  • 대상: 만 15~69세의 구직자 중 소득이 낮고 일자리를 구하려는 사람
  • 혜택: 매달 50만 원씩 6개월간 총 300만 원의 구직촉진수당 지급, 취업상담 및 훈련 지원
  • 신청 방법: 워크넷을 통해 신청

2. 보조금24

  • 내용: 주민등록 정보를 기반으로 개인 맞춤형 지원금을 자동으로 추천해주는 시스템
  • 혜택 예시: 기초연금, 장애인 연금, 다자녀 가구 수당, 임산부 영양지원사업 등
  • 확인 방법: 정부24의 보조금24 서비스 이용

3. 기초생활보장 급여

  • 대상: 중위소득 30~50% 이하 가구
  • 혜택:
    • 생계급여: 최저생계비 지원
    • 의료급여: 병원비 지원
    • 주거급여: 월세, 전세금 지원
    • 교육급여: 교복비, 급식비 등
  • 신청 방법: 읍·면·동 주민센터 방문 또는 복지로 사이트 이용

4. 건강보험료 및 국민연금 감면

  • 내용: 소득이 없거나 낮은 경우 건강보험료 경감 신청 가능, 국민연금 납부유예 가능
  • 준비물: 소득금액 사실증명원 (홈택스에서 발급)
  • 문의처:
    • 국민건강보험공단
    • 국민연금공단

5. 기타 지원금

  • 문화누리카드: 기초수급자·차상위계층에 문화활동비 연 11만 원 지원
  • 에너지 바우처: 취약계층 난방비 지원
  • 임산부 친환경농산물 지원: 1년간 48만 원 상당의 꾸러미 제공
  • 청소년한부모 자립지원: 월 최대 35만 원의 생계지원

정부에서는 다양한 지원금을 통해 1인 가구의 생활 안정을 돕고 있습니다.
하지만 이러한 혜택들은 신청하지 않으면 받을 수 없습니다.
위에서 소개한 지원금들을 확인하시고, 해당되는 항목이 있다면 빠르게 신청하시기 바랍니다.


* 이 글은 정보 제공을 위한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며, 실제 지원금 신청 전에는 해당 기관의 공식 사이트에서 최신 정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
  •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
  •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
  • 페이스북 공유하기
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